본문 바로가기
로봇

4바퀴 메카넘 휠 로봇의 키네마틱스(Kinematics) 모델

by OpenJigWare 2025. 4. 7.

메카넘 휠(Mecanum Wheel)은 각 휠에 경사진 롤러가 부착되어 있어, 4바퀴 구성으로 로봇이 전방, 후방, 측면 및 대각선 등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4바퀴 메카넘 휠 로봇의 키네마틱스를 계산하고 그 원리를 이해해 보겠습니다.


1. 메카넘 휠의 개념 및 4바퀴 구조의 장점

메카넘 휠은 경사진 롤러 덕분에 바퀴의 원주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어, 로봇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. 4바퀴 메카넘 휠 로봇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:

  •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 가능
  • 정밀한 위치 제어 및 복잡한 경로 주행
  • 좁은 공간에서의 탁월한 기동성
  • 다양한 산업 분야에의 응용 가능

2. 4바퀴 메카넘 휠 로봇의 키네마틱스 모델

4바퀴 메카넘 휠 로봇은 각 휠이 로봇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으며, 각 휠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힘의 벡터를 조합하여 로봇의 이동 및 회전을 구현합니다.

바퀴 속도와 로봇 이동 관계

각 바퀴의 선속도(v₁, v₂, v₃, v₄)는 로봇의 X축 및 Y축 이동 속도(Vₓ, Vᵧ)와 회전 속도(ω)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관계로 나타냅니다:

v₁ = (1/r) * ( Vₓ - Vᵧ - (L+W) * ω );
v₂ = (1/r) * ( Vₓ + Vᵧ + (L+W) * ω );
v₃ = (1/r) * ( Vₓ + Vᵧ - (L+W) * ω );
v₄ = (1/r) * ( Vₓ - Vᵧ + (L+W) * ω );

여기서:

  • v₁, v₂, v₃, v₄: 각 바퀴의 선속도
  • Vₓ, Vᵧ: 로봇의 X축 및 Y축 이동 속도
  • ω: 로봇의 회전 속도
  • r: 휠의 반지름
  • L, W: 로봇 중심에서 각 바퀴까지의 거리 (로봇의 길이와 너비 관련 상수)

3. 실제 키네마틱스 계산 예제

예를 들어, 로봇이 전진 운동만 수행하는 경우 (즉, Vₓ = 1 m/s, Vᵧ = 0, ω = 0) 각 바퀴의 속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:

v₁ = (1/r) * (1 - 0 - 0) = 1/r
v₂ = (1/r) * (1 + 0 + 0) = 1/r
v₃ = (1/r) * (1 + 0 - 0) = 1/r
v₄ = (1/r) * (1 - 0 + 0) = 1/r

이 계산 예제를 통해, 원하는 이동 방향에 따라 각 바퀴의 속도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

4. 4바퀴 메카넘 휠 로봇 활용 사례

  • 실내 물류 및 자동화 시스템
  • 제조 및 창고 관리 로봇
  • 서비스 및 의료 로봇
  • 교육 및 연구용 모바일 로봇 플랫폼

5. 결론

4바퀴 메카넘 휠 로봇의 키네마틱스 모델을 이해하고 계산함으로써, 로봇이 복잡한 경로에서도 정밀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제어 능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로봇의 효율성과 기동성을 크게 향상시키며, 여러분께서도 이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로봇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해 보시기 바랍니다.